연합회 단체표준 시험검사 경영지원 정보마당
공지사항
화학·바이오ISC, 2023년도 1분기 이슈리포트 발간
작성 : 관리자|조회 : 3346|등록 : 2023-05-03 17:30

화학·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CHEMISC)에서 작성한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서 화학·바이오 분야의 기회와 한'을 배포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화학·바이오산업을 위한 인력양성·공급 지원 기관

CHEM-BIO.net Issue Report

2023-1Q

발행인 안효철

발행일 2023.4.31

발행처 화학·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서 화학·바이오 분야의 기회와 한계

GPT 20022년 11월 말 초거대 언어 생성형 AI로 출시된 이래세상 사람들은 놀라운 경험을 하고 있으며 2023년 3월 14일 현재 챗GPT-4가 업그레이드되어 그 성능과 발전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음

GPT의 출시 이후 사람들은 이를 이용하여 일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를 갖고 있는 한편또 다른 한편에서는 자신의 직업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음

• AI는 이제 돌이킬 수 없는 대세이므로 인터넷처럼 이를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개인에게는 자신의 성장과 효율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임

• 사회적으로는 AI 디바이드가 생기지 않도록 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교육이 필요함

- GPT를 화학·바이오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개인이 처해진 위치에 따라 다르겠지만학생이나 구직자의 경우에는 직업탐색이나 취업전략 그리고 면접요령 등에 대한 정보를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고실험실이나 연구실에 있는 전문가들의 경우 문서나 논문들의 요약화학구조 생성 및 예측약물 디자인바이러스 예측 등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음

화학·바이오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의 종류는 챗GPT와 같은 범용 목적의 AI뿐만 아니라 화학 분야에 특화된 ChemGPT와 ChemBert 그리고 바이오 분야에 특화된 BioGPT와 BioBert 그리고 의료 분야에 특화된 Bio ClinicalBert, MedBert 등이 있음

생성형 AI는 사람의 질문(Prompt)에 대해 답변을 체계적으로 잘 정리하고 제시하지만 AI의 답변이 갖는 문제점들과 한계점들이 분명히 있어 사실관계에 관한 사항은 반드시 전문가의 지식을 비롯한 다른 경로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음

• AI는 자료의 근거를 제시할 수 없으며제시되는 출처라도 신뢰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 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출처와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함

 

[입찰공고] 시험장비 입찰공고
2023년 2/4분기 할당관세 한계수량 종료 안내(해당품목 3901.10 무역업자)
개인정보처리방침 연락처/약도
주소 : 서울시 중구 마른내로 138 한국플라스틱회관
대표자 : 채정묵, 사업자번호 : 201-82-04089
대표전화 : 02-2280-8220, 팩스 : 02-2274-4207
이메일 : kfpic10@kfpic.or.kr
ⓒ KFPIC
연합회 소개 단체표준 시험검사 경영지원 정보마당
정보마당
공지사항
화학·바이오ISC, 2023년도 1분기 이슈리포트 발간
작성 : 관리자|조회 : 3347|등록 : 2023-05-03 17:30

화학·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CHEMISC)에서 작성한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서 화학·바이오 분야의 기회와 한'을 배포하오니 업무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화학·바이오산업을 위한 인력양성·공급 지원 기관

CHEM-BIO.net Issue Report

2023-1Q

발행인 안효철

발행일 2023.4.31

발행처 화학·바이오산업인적자원개발위원회 (한국정밀화학산업진흥회)

생성형 AI 활용에 있어서 화학·바이오 분야의 기회와 한계

GPT 20022년 11월 말 초거대 언어 생성형 AI로 출시된 이래세상 사람들은 놀라운 경험을 하고 있으며 2023년 3월 14일 현재 챗GPT-4가 업그레이드되어 그 성능과 발전 속도가 가속화되고 있음

GPT의 출시 이후 사람들은 이를 이용하여 일의 효율성과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는 기대를 갖고 있는 한편또 다른 한편에서는 자신의 직업이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이 있음

• AI는 이제 돌이킬 수 없는 대세이므로 인터넷처럼 이를 어떻게 잘 활용하느냐에 따라개인에게는 자신의 성장과 효율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임

• 사회적으로는 AI 디바이드가 생기지 않도록 국가적인 차원에서 AI 교육이 필요함

- GPT를 화학·바이오 분야에서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가에 대해서는 개인이 처해진 위치에 따라 다르겠지만학생이나 구직자의 경우에는 직업탐색이나 취업전략 그리고 면접요령 등에 대한 정보를 어렵지 않게 구할 수 있고실험실이나 연구실에 있는 전문가들의 경우 문서나 논문들의 요약화학구조 생성 및 예측약물 디자인바이러스 예측 등 그 활용 범위가 매우 넓음

화학·바이오 분야에서 이용할 수 있는 생성형 AI의 종류는 챗GPT와 같은 범용 목적의 AI뿐만 아니라 화학 분야에 특화된 ChemGPT와 ChemBert 그리고 바이오 분야에 특화된 BioGPT와 BioBert 그리고 의료 분야에 특화된 Bio ClinicalBert, MedBert 등이 있음

생성형 AI는 사람의 질문(Prompt)에 대해 답변을 체계적으로 잘 정리하고 제시하지만 AI의 답변이 갖는 문제점들과 한계점들이 분명히 있어 사실관계에 관한 사항은 반드시 전문가의 지식을 비롯한 다른 경로를 통해 확인할 필요가 있음

• AI는 자료의 근거를 제시할 수 없으며제시되는 출처라도 신뢰할 수 없는 경우가 많음

• 자료에 대한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출처와 사실관계를 확인해야 함

 

다음글 [입찰공고] 시험장비 입찰공고
이전글 2023년 2/4분기 할당관세 한계수량 종료 안내(해당품목 3901.10 무역업자)
개인정보처리방침 연락처 및 오시는길
주소 : 서울시 중구 마른내로 138 한국플라스틱회관 (우04560) | 대표자 : 채정묵 | 사업자등록번호 : 201-82-04089
대표전화 : 02-2280-8200 | 팩스 : 02-2274-4207 | 이메일 : kfpic10@kfpic.or.kr
Copyright ⓒ KFPIC All Right Reserved